기관명 | 스마트제조혁신센터 |
---|---|
기관유형 | 민간 연구기관 |
주소 |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엠티브이12로 17 (성곡동, 에이.엠.씨) |
센터명 | 스마트제조연구센터 |
---|---|
주소 |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엠티브이12로 17 (성곡동, 에이.엠.씨) |
KOLAS 공인인정 | 준비중 |
주요인정분야 | |
구축목적 | ㅇ (목적) 스마트제조 8대 기술*을 실제공장에 적용하기 전 주요업종에서 먼저 비교 시험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 공장 구축지원 * ①디지털트윈, ②CPS, ③IoT, ④빅데이터, ⑤클라우드, ⑥협업로봇, ⑦3D프린터, ⑧증강·가상현실 ㅇ (현황) 스마트공장 공급기업의 역량 집중과 주요 솔루션기업과의 협력으로 최신 스마트제조기술 현장적용(POC, 개념증명) 모델 개발 - 27개사 참여 중(‘18년말 기준) , ‘20년 40개사, 21년 55개사로 참여 확대 ㅇ (특징) 세계 7번째로 미국 IIC(산업용사물인터넷컨소시엄)의 ‘스마트제조 공식 테스트베드’ 선정 및 독일 LNI(테스트베드 연합) 상호 호환성 인증 ㅇ (주요사업) - 고도화 수준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기술체험 프로그램 운영 - 스마트공장 구축 컨설팅 지원 및 인력양성 실습인프라 운영 - 보급 사업을 위한 표준 상호운용성 시험 및 공정개발 지원 ㅇ (성과) 세계 7번째로 미국 IIC(산업용사물인터넷컨소시엄)의 ‘스마트제조 공식 테스트베드’ 선정 및 독일 LNI(테스트베드 연합) 상호 호환성 인증 |
센터주요기능 | 1. 스마트제조 솔루션의 국제표준(IEC, IIC) 기반 상호운용성 시험 서비스 2. 모듈기반 스마트 유연생산 라인구축 연동 시험(Proof of Concept, 개념증명) 서비스 3. 제조데이터의 클라우드 기반 빅데이터/AI 분석 솔루션 시험 환경 제공 4. 디지털 트윈(Digital Twin) 기반의 이산공정라인 개발환경 제공을 통한 제품 개발 및 장비 설계 방안 컨설팅‧교육 5. 고도화 수준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첨단 스마트제조기술 체험 프로그램 운영 |
인증/인정서비스 | |
실무자 정보 |
성함 : 남승욱 연락처 : 이메일 : swnam@keti.re.kr |
센터장 인사말
세계의 경제와 산업은 신성장동력으로 4차 산업혁명에 주목하고 있습니다.
선진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은 제조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실질적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.
미래제조업의 경쟁력이 될 스마트팩토리의 도입을 위해 스마트제조혁신센터는 최고수준의 스마트제조기술이 집약된 미래형모델 공장을 구축하고 있습니다.
스마트제조혁신센터(SMIC)는 제조 핵심기술을 중심으로 미래 스마트팩토리의 구축방향을 제시합니다.